반응형
반응형
카카오봇 UDP 서버를 도커에 올렸는데 서버 시간이 맞지 않아서 이상동작을 하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확인해보니 서버 시간이 9시간 전으로 잡혀있더군요. 타임존을 셋팅해주지 않아서 디폴트로 다른 ZONE 시간대로 설정된 것으로 파악하였습니다. 서버 시간을 변경하는 방법은 직접 도커 컨테이너에 접속해서 시간 설정을 변경해주면 됩니다. 하지만 이렇게 하게 될 경우 이렇게 하게 될 경우 컨테이너를 재생성하거나 재실행 시 또 시간을 바꿔주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합니다. 그래서 위 방법은 서버를 재실행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임시방편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그래서 1회성이 아닌 도커 컨테이너 실행 시점부터 정상적인 시간대로 맞춰주기 위해 때 TIMEZONE 정보를 넣어주고 도커 이미지를 생성해주면 됩니다. 서버..
앞서 카카오톡 메신저봇 챗봇 서버를 돌리기 위해 윈도우11에 docker desktop 환경을 구축했었습니다. [docker] docker desktop 설치, 챗봇 서버 이미지 배포 테스트 윈도우에 WSL2 docker 설치 후 테스트 서버로 시운전까지 마쳐주고 설치해준 도커 서버는 삭제를 해주었습니다. 좀 더 편리한 환경을 위해 Docker Desktop을 설치해서 운용해보기로 합니다. 먼저 Docker D quantrader.tistory.com 이제 추가적으로 모든 개발 환경을 docker 에 올리기로 합니다. 단일 tomcat 을 띄워서 구동하는 방식보다 여러모로 장점이 있는 듯 합니다. 아직은 더 경험해보아야 하는 부분이지만 일단 한번 시작한 스터디는 끝을 봐야 할듯 합니다. spring bo..
리액티브 시스템 - 비동기 메시지 기반 통신으로 동작해야 하고 높은 응답성을 지녀야함 선언현 프로그래밍 방식 명령형 프로그래밍 방식 데이터 소스의 변경이 있을때마다 데이터를 전파, 스트림 형태로 구독하는 방식 리액티브 프로그래밍 코드는 코드의 간결함과 가독성에 유리한 메서드 체인의 형태로 표현 목표 함수의 형태 Publisher : 입력으로 들어오는 데이터를 Subscriber에 제공하는 역할 Subscriber : Publisher 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를 사용하는 역할 Data Source : Publisher 의 입력으로 전달되는 데이터를 의미 Operator : Publisher 와 Subscriber 중간에서 데이터를 가공하는 역할 업데이트 중
이클립스 사용중에 CTRL+ALT+R 단축키를 이용하면 파일명 검색을 할 수 있는 Open Resource 창이 뜹니다. 보통 여기서 찾고자하는 jsp, js, xml, .do java파일등을 검색하는데 가끔 여기서 파일을 찾아서 수정을 하고 반영을 시켜도 원래대로 돌아가는 현상이 발생하곤 합니다. 빌드된 target 폴더 내 동일 파일명에 접근해서 수정을 하는 바람에 이런 현상이 나타나는 거라서 미연에 방지함이 좋습니다. target 폴더 내에 검색되는 파일은 검색결과에서 제외될 수 있도록 설정을 변경해보겠습니다. 먼저 이 설정은 프로젝트 별로 설정이 되는 부분이라서 왼쪽 Project Explorer 내 프로젝트 타이틀에 마우스 우클릭 팝업 메뉴를 이용해 Properties 에 접근해줍니다. 아래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