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이클립스 버전업을 진행하면서 기존에 셋팅되어 있던 설정들이 모두 날아가면서 초반 셋업 과정을 또 거치게 되었습니다. svn 플러그인을 설치해준 뒤 svn 서버에서 필요한 프로젝트를 내려받은 뒤 sync를 맞춰보는 과정에서 커밋 진행 시 target 폴더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게 되었습니다. 기존 이클립스에는 commit 시 target 폴더를 자동으로 배제할 수 있도록 설정해두었는데 새로운 이클립스라 또 많은 것을 설정해줘야 하는 일이 생겼네요 리소스 검색 시 target 폴더를 제외하는 것은 프로젝트마다 설정하게 되어 있었는데 다행히 svn commit 시 target 폴더 제외 시키는 건 이클립스 전체 공통 셋팅에 해당하기 때문에 아래 과정을 한번만 진행해주면 됩니다. 이클립스 상단 메뉴로 이동..
플러터 강의와 함께 개발을 진행했었던 앱을 release 시켜 휴대폰에 설치하는 과정을 진행했습니다. 갤럭시 S22플러스 모델을 사용중이어서 안드로이드 플랫폼으로 타겟팅해서 빌드를 진행했습니다. release apk 파일 생성을 위한 명령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flutter build apk --release --target-platform=android-arm64 휴대폰을 직접 연결해서 flush install 명령어를 통해 설치도 가능하나 클라우드 개발 환경이어서 구글드라이브로 apk 파일을 올린 후에 공유 기능을 통해 다운로드 설치를 하는 과정을 진행하려 했습니다. 그런데 설치 과정에서부터 아래와 같은 오류를 마주하게 됩니다. Target aot_android_asset_bundle failed: ..
작업개요 전자정부 스프링 프레임워크로 개발된 레거시 프로젝트를 상위 버전으로 마이그레이션 작업을 하게 되었습니다. 스프링 부트로 옮겨가고 싶었으나 스프링 3.0.5 버전으로 작성된 오래된 버전이어서 일단은 4.x 대로 올리는 작업을 우선하게 되었으며 제법 많은 시행착오를 거치면서 진행했기에 시간을 많이 할애하게 되었습니다.전자정부 프레임워크 공식 사이트에서 버전간 마이그레이션 가이드 문서가 제공되고 있으니 해당 문서를 참고해서 작업 하시는걸 추천드립니다. 첨에 이 문서를 제대로 보지 않고 진행해서 더 헤맸던것 같습니다. 제가 작업한 전자정부프레임워크 실행환경 버전은 중구난방이어서 딱히 버전을 몇으로 올렸다라고 말하기 힘드네요. 최신 실행환경의 버전이 4.1인데 스프링 버전은 5.3.20을 쓰고 있는걸 보..
전자정부 스프링프레임워크 하에 개발을 진행중이시라면 프론트엔드 쪽은 jsp 페이지로 구성할텐데요. 최근에 스프링부트 마이그레이션 진행하면서 타임리프를 쓴다는걸 배웠으나 러닝커브가 가파르다는 얘기를 듣고 jsp를 버리기는 어렵겠구나 하는 생각을 해보았습니다. 새로운 언어의 문법을 익히는 데에도 시간이 소요되며 마이그레이션을 진행한다해도 어느 세월에 완료될지 알 수 없기에 그대로 jsp 를 고수하면서 개발을 진행하기로 합니다. 그러던 와중에 'is exceeding the 65535 bytes limit' 이러한 오류 문구를 발견하게 됩니다. 찾아보니 톰캣 서버가 jsp 페이지를 허용하는 크기를 넘어섰을 때 나타내는 오류 문구였습니다. 쉽게 말해 JSP 페이지 용량초과, 다른 말로 풀어낸다면 한페이지에 너무..
전자정부 프레임워크 버전이 너무 오래된 관계로 업그레이드 작업을 진행했습니다. 굉장히 많은 시행착오를 거쳤는데 스프링 프레임워크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무지에서 온 삽질의 연속이었습니다. 표준 프레임워크 업그레이드 가이드 문서가 있었음에도 검색능력의 부족으로 문서존재조차 몰라 맨땅에 헤딩하면서 진행했지만 결국 업그레이드에 성공하긴 했습니다. 스프링 프레임워크 3.x 버전에서 4.x 로 올리면서 전자정부 프레임워크도 업그레이드를 진행했는데 아래 가이드 문서를 참고하시면 좋을듯 합니다. 오늘은 프레임워크 업그레이드 작업중에 리포지토리 변경하는 작업이 필요했었는데 그 절차를 포스팅해보려 합니다. 아파치 메이븐 공식 홈페이지에 이미 소개되어 있는 방법이며, 이클립스 환경설정에서 진행이 가능합니다. 전자정부 프레임..
앞서 springboot 프로젝트에 액츄에이터를 활성화 시켜서 docker 에 올리는 작업을 진행했습니다. 이제 프로메테우스(prometheus)와 그라파나(grafana)를 설치해 스프링부트 서버 모니터링 환경을 구성해보려 합니다. 프로메테우스는 스프링부트에서 제공해주는 메트릭스 정보를 수집하는 서버이고 그라파나는 이 데이터를 시각화 해서 보여주는 시각화툴입니다. 프로메테우스(prometheus) 설치 먼저 프로메테우스를 설치하기 위해 config 파일을 작성해줍니다. prometheus.yml 파일을 만들어 아래 내용을 작성해줍니다. 전역으로 15초 인터벌로 데이터를 수집하도록 설정이 되었으며 scrape_configs 내 접근 대상 정보를 기입해줍니다. job_name 으로 프로메테우스와 스프링액츄..